□ 요약
이 책은 인구경제학에 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지구라는 행성에서 인구가 늘어나면 천연자원의 희소성이 증가하고 환경이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비평가들이 있다. 그러나 1969년경부터 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오는 동안에, 인구증가는 경제발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생활수준을 낮추지도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폭을 넓힐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를 쓴 것이 이 책의 초판 1981년도이다.
□ 내용
사회에 사람이 많아지면 그만큼 문제의 소지도 증가하겠지만, 동시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도 증가한다. 세상의 발전을 가속시키는 기본 연료는 우리의 축적된 지적 능력이며, 제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상상력의 부족이다. 따라서 근본 자원은 다름 아닌 사람들이다. 기술이 있고 활기가 넘치며 희망에 찬 사람들이 근본 자원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의지와 상상력을 총동원하여, 자신의 편익은 물론 신념과 사회적 관심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진력할 것이기 때문이다.
□ 목차
서문
초판의 감사의 글
신판의 감사의 글
서론. 인구와 자원문제의 실체
1부. 우리 아름다운 자원의 미래를 지향하며
1. 원재료의 희소성에 관한 놀라운 이론
2. 자원에 관한 물리적 예측이 자주 틀리는 이유
3. 에너지를 비롯한 천연자원의 공급량은 정말 무한한가? 물론이다
4. 대이론
5. 대기근 발생? 1975? 1995? 2025?
6. 식량생산의 한계란 무엇인가?
7. 현재의 세계 식량 사정: 부족위기, 과잉위기, 그리고 정부
8. 땅이 사라지나?
9. 두 유령: "도시팽창"과 토양침식
10. 물, 숲, 습지 - 그 다음은?
11. 석유가 바닥나나? 천마에!
12. 오늘날의 에너지 문제
13. 원자력: 미래의 위대한 에너지 기회
14. 지구는 죽어간다? 언론매체가 대중에게 겁주는 방법
15. 오염에 관한 특이한 이론
16. 오염의 역사적 방향
17. 오염의 실상: 구체적 추세와 쟁점
18. 환경과 자원에 관한 나쁜 소동
19. 쓰레기더미에 파묻히나?
20. 다른 목적으로 자원을 보존해야 하나? 어떤 자원을 보존할 필요가 있나?
21. 재활용 강요, 강제 보존, 자유시장 대체
2부. 인구증가가 자원과 생활수준에 미치는 영향
22. 서 있을 자리 밖에 없나? 인구에 관한 사실
23. 미래의 인구는 어떻게 증가하나?
24. 사람도 파리처럼 번식하나? 시궁쥐처럼 새끼를 낳나?
25. 인구증가와 자본축적
26. 인구가 기술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27. 규모의 경제와 교육
28. 인구증가, 천연자원, 미래세대
29. 인구증가와 토지
30. 사람은 환경오염물인가?
31. 사람은 멸종의 원인인가?
32. 인구증가는 건강과 심리적 사회적 복지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34. 거대경제의 모습 Ⅱ: 후진국
3부. 자료를 넘어서
35. 일이 좋아지고 있나 나빠지고 있나? 비교방법이 사람의 신념에 미치는 영향
36. 인구조절의 수사학: 끝이 좋으면 다 좋은가?
37. 수사의 논법
38. 사람의 기본 가치
39. 핵심 가치
결론
에필로그
NO. | 제 목 | 글쓴이 | 등록일자 |
---|---|---|---|
8 | [추천도서] 환경과 빈부의 두 세계 IEEI / 2021.04.14 |
||
7 | [추천도서] 만화로 보는 박교수의 환경재난 이야기 IEEI / 2021.04.14 |
||
6 | [추천도서] 환경 재난과 인류의 생존 전략 IEEI / 2021.04.14 |
||
5 | [추천도서] 부국환경론 IEEI / 2021.04.14 |
||
▶ | [추천도서] 근본 자원 2 - 상, 하 IEEI / 2021.04.08 |
||
3 | [추천도서] 과학이라는 헛소리 IEEI / 2020.02.07 |
||
2 | [추천도서] 회의적 환경주의자 IEEI / 2019.10.22 |
||
1 | 정크 사이언스(Junk Science)란 무엇인가? IEEI / 201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