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크 사이언스(Junk Science)란 무엇인가?

• 글쓴이: IEEI  
• 작성일: 2019.10.15  
• 조회: 488

정크 사이언스(Junk Science)란 특정한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잘못된 과학적 자료와 분석을 말합니다. 기업이 교수에게 연구비를 주어 자기 제품에 유리한 연구결과를 발표하도록 하거나, 시민단체가 자신들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건강에 대한 위험을 과장해서 공표하는 것이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과학 칼럼니스트 스티븐 밀로이(Steven Milloy)는 그의 대표적 저서인 <정크 사이언스 유도(柔道)>에서 정크 사이언스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시민들의 돈을 낭비하는 등 해악이 크다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먼저 누가 정크 사이언스를 유포하는가를 알아야 합니다.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TV 방송, 손해배상 소송으로 먹고 사는 변호사들, 자신들이 무언가 일을 한다고 내세우려는 시민운동가들이 정크 사이언스를 성행시킨 주범들입니다.

 

19892CBS 방송은 사과에 알라라는 맹독성 농약성분이 남아있어 어린이들의 건강을 위협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보도는 한 환경단체가 제공한 자료에 근거한 것인데, 이로 인해 전미국의 사과농장이 타격을 입었습니다. 그러나 사과에 남아 있는 극미량의 알라 성분은 인체에 위험을 야기하지 않음이 나중에 밝혀졌습니다.

 

한 시리얼 회사는 자사 제품을 팔기 위해 곡류 시리얼이 대장암을 예방한다는 연구결과를 유포해서 큰 이익을 보았습니다. 하지만 시리얼 섭취와 대장암 예방과는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자궁삽입 피임기구를 개발한 제약회사는 그 제품이 골반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오자 파산해 버렸는데, 한참 후 그 연구가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체르노빌 원전(原電)에서 사고가 나자 어떤 미국 학자는 이로 인해 향후 100년 내에 전 세계에서 1백만 명이 암에 걸리고 그 중 절반이 사망할 것이라고 발표해서 일반인들은 체르노빌을 대재앙(大災殃)으로 생각하게 됐다. 이 사고 후 14년 동안 주변의 암 발생을 조사한 국제원자력기구는 사고 직후 31명이 사망한 것 외에 1800명의 어린이가 치료 가능한 갑상선암에 걸린 것이 가장 큰 건강피해라고 밝혔다.

 

건강에 대한 위험은 통계보다 생물학적 인과관계로 입증되어야 하며, 학자의 연구는 동료들의 반복실험으로 확인돼야 하는 것임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상관관계를 인과관계로 착각하여 결론을 호도하거나 한 번의 우연한 실험결과로 전체를 일반화 한다면 이것이 정크 사이언스입니다.

 

환경에 남아있는 살충제나 PCB가 다른 화학물질과 상승작용을 일으켜 인간의 호르몬 기능을 교란시킬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한 교수는 반복실험에서 실패하자 자신의 연구결과를 철회했습니다. 그럼에도 환경호르몬 현상은 마치 확인된 과학적 사실인 것처럼 인식돼 버린 것이 그 사례입니다. 실험용 생쥐에게 화학물질을 고단위로 투입해서 얻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그런 물질이 인간에 암을 일으킨다는 주장이나, 매년 몇 만 명이 무엇 때문에 죽는다는 식의 추정적 통계도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밀로이는 정부기관에서 규제기능과 연구기능을 분리할 것 등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만약, 규제기능과 연구기능이 함께 있다면 권력 확대를 추구하는 정부기관의 특성상 과학적 논증이 충분히 뒷받침 되지 않은 실험 결과라도 성급히 규제로 연결시켜 정부의 권한을 늘리려 시도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속에서 조화로운 경제발전을 이루고자 한다면 정크 사이언스에 대한 경계는 필수적입니다. 정크 사이언스에 현혹되어 갖은 규제를 양산하고 기업의 혁신을 매도하다보면 자연히 기업 활동은 위축될 것이고 정부의 간섭은 심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등록
비밀번호 확인
글 작성시 입력하셨던 비밀번호를 넣어주세요.

확인
창닫기
수정하기
창닫기
• 전체 : 8 건 ( 1/1 쪽)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8 [추천도서] 환경과 빈부의 두 세계
IEEI / 2021.04.14
IEEI 2021.04.14
7 [추천도서] 만화로 보는 박교수의 환경재난 이야기
IEEI / 2021.04.14
IEEI 2021.04.14
6 [추천도서] 환경 재난과 인류의 생존 전략
IEEI / 2021.04.14
IEEI 2021.04.14
5 [추천도서] 부국환경론
IEEI / 2021.04.14
IEEI 2021.04.14
4 [추천도서] 근본 자원 2 - 상, 하
IEEI / 2021.04.08
IEEI 2021.04.08
3 [추천도서] 과학이라는 헛소리
IEEI / 2020.02.07
IEEI 2020.02.07
2 [추천도서] 회의적 환경주의자
IEEI / 2019.10.22
IEEI 2019.10.22
정크 사이언스(Junk Science)란 무엇인가?
IEEI / 2019.10.15
IEEI 2019.10.15